
대전시는 6일 충남대학교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충남대학교와 ‘데이터안심구역 대전센터’ 조성 및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에 따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데이터 안심구역 구축 및 운영을 맡고, 시는 공간 및 지역특화 데이터를 제공한다. 충남대는 데이터 인력양성 추진 등을 맡는다. 또한 지방의 데이터 양극화 해소를 위해 공동협력 사업도 발굴해 추진하기로 했다.
시는 지금까지 서울에만 운영되던 데이터안심구역의 방대한 미개방 데이터를 지자체 최초로 보유하게 됐다. 이를 통해 지역의 기업, 연구기관, 학생들이 데이터 접근성 제약 해소를 통해 광범위한 연구 사업화, 비즈니스 창출 등의 기반을 마련하는 계기가 됐다.
데이터안심구역은 공공·민간이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들 중 보안과 민감정보 등의 이유로 개방하지 못한 데이터들을 철저한 보안관리와 승인절차가 갖춰진 공간에서 이용자들이 자유롭게 분석한 결과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서비스 공간이다.
데이터안심구역 대전센터가 충남대 캠퍼스내 조성되면 그동안 빅데이터 실증분석을 위하여 서울로 가야만 했던 불편이 사라지고 대전센터에서도 금융, 교통 등 10개 분야 90여종의 양질의 미개방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통계청, 심사평가원 등 4개 기관의 각종 데이터들도 같은 공간에서 접할 수 있다.
이석봉 경제과학부시장은”기술 개발과 연구협력, 맞춤형 인력양성 등과 연계하여, 대전에 최적화된 데이터경제 선순환을 이끄는 획기적인 인프라가 구축됐으니 대전은 물론, 중남부 지방의 데이터 기업체, 학계, 일반 시민들의 많은 이용을 바란다”고 헀다.
한편 데이터안심구역 대전센터는 연말까지 구축을 마무리하고, 시범운영 기간 2개월을 거쳐 내년 3월에 시민에게 전면 개방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