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개 지자체 ‘합동추진단’ 빠르면 오는 8월 출범
사실상 행안부 승인만 남겨 둔 상태

지난해 11월 29일 대전세종연구원에서 열린 ‘충청권 메가시티 전략수립 연구용역’최종보고회 모습 / 뉴스티앤티 DB
지난해 11월 29일 대전세종연구원에서 열린 ‘충청권 메가시티 전략수립 연구용역’최종보고회 모습 / 뉴스티앤티 DB

올 하반기로 예상되는 충청권 메가시티를 위한 ‘합동추진단’이 빠르면 오는 8월 께 출범할 것으로 보인다.

3일 행정안전부와 관련 지자체 등에 따르면 충청권 메가시티의 전진기지 역할을 담당할 ‘합동추진단’출범을 위해 관련기관 간 긴밀한 협의를 이어가고 있다.

1년 한시 기구로 운영될 예정인 ‘합동추진단’은 현재 대전, 세종, 충남·북 등 4개 지자체 간 협의를 거쳐 행안부에 승인요청만 남겨 둔 상태로 이에 따른 각종 수행사무에 대해 각 지자체 간 막판 조율이 이뤄지고 있다는 것.

이에 따라 이들 4개 지자체는 현재 충청권 메가시티를 위한 1차 관문인 합동추진단을 뒷받침하기 위한 실무작업에도 박차를 가하는 한편 충청권 민·관·정 협의체를 중심으로 조성의 필요성과 비전 등에 대한 지역민들의 공감대 확산에도 주력해 나갈 방침이다.

관련 지자체들은 합동추진단이 순조롭게 출범 될 경우 행안부 장관의 규약 승인까지 최소 1년이 소요될 것으로 보고 늦어도 오는 2023년 안에 특별지자체가 본격적인 ‘닻’을 올릴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한 올 연말까지 프로젝트별 사업 현황조사와 분석을 통해 초광역 협력사업을 발굴하는 한편 전담 조직을 운영, 사업별 위임규정 등을 정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행안부도 향후 특별지자체 설치를 통해 메가시티를 출범시키기 위해 이에 필요한 4개 지자체의 기본 규범을 담은 규약 제정과 지방의회 의결 등에 대한 협의를 추진하고 있다.

행안부 관계자는 “충청권 메가시티가 성공적으로 연착륙될 수 있도록 후속 과제를 신속하게 이행하겠다”며 “국가 사무의 위임 문제를 비롯 특별지자체 재원 마련, 제도개선 등에 대해서도 관련 시·도와 긴밀히 협의해 차질 없이 진행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티앤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