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는 11일 전년 대비 5.7%, 3811억 원이 증가한 7조 582억 원 규모로 2026년도 예산안을 편성해 시의회에 제출했다. (사진=대전시청 / © 뉴스티앤티)
대전시는 11일 전년 대비 5.7%, 3811억 원이 증가한 7조 582억 원 규모로 2026년도 예산안을 편성해 시의회에 제출했다. (사진=대전시청 / © 뉴스티앤티)

대전시는 11일 전년 대비 5.7%, 3811억 원이 증가한 7조 582억 원 규모로 2026년도 예산안을 편성해 시의회에 제출했다.

회계별로는 일반회계 5조 7394억 원, 특별회계 1조 3188억 원이며, 전년 대비 일반회계는 3.5%, 1924억 원, 특별회계는 16.7%, 1,887억 원이 증가한 규모이다.

한치흠 대전시 기획조정실장은 "내년도 예산안은 긴축재정 기조하에 한정된 재원을 민생안정·경제활력 사업과 생애 전주기 맞춤형 지원을 통한 미래 세대 투자에 중점을 뒀다"고 설명했다.

지방채 발행은 올해 대비 18%(300억 원)이 증가한 2000억 원을 발행키로 했다. 한 실장은 "긴축재정 기조를 유지하면서 도시철도 2호선 건설 등 대규모 SOC 사업의 원활한 추진과 사회적 약자 지원 등 복지 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세출 수요 증가에 대응하고자 이같이 결정했다"고 부연했다.

대규모 SOC 사업으로 시민 숙원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도시철도 2호선 건설 2,400억 원, 안영생활체육단지 2단계 사업 160억 원, 무궤도 트램 건설 68억 원, 서남부스포츠타운 건설 53억 원 등을 편성하였고, 도로망 확충을 위해 대덕특구 동측진입로 개설 161억 원, 정림중~사정교 간 도로개설 100억 원 등을 투자하고, 집중 호우 등 재난 대비를 위해 자연재해 위험 개선지구 정비 158억 원, 지방하천정비사업 32억 원 등을 반영했다.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저성장 고착화 및 고금리․고물가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을 위해 초저금리 지원 410억 원, 소상공인 경영회복지원 136억 원, 대전사랑상품권 발행 60억 원, 소상공인 임대료 지원 30억 원, 전통시장 냉풍기 지원 10억 원, 전통시장 및 상점가 주차환경개선 사업 68억 원 등을 편성했다.

돌봄·보육 지원사업으로 대전형 양육수당 527억 원, 영유아보육료 1,319억 원, 어린이집 반별 운영비 68억 원, 누리과정 차액보육료지원 18억 원, 아이돌봄 지원 236억 원을 편성하고, 장애인 자립기반과 고용촉진을 위한 맞춤형 스마트팜조성 20억 원을 반영했다.

청년 지원사업으로는 청년부부 결혼장려금 지원 160억 원, 청년월세 한시 지원 144억 원, 미래두배 청년통장 40억 원, 청년 주택임차보증금 이자 지원 18억 원 등을 반영해 청년 자립기반 마련에 힘썼다.

어르신 지원사업으로는 어르신 무임교통 지원 216억 원, 노인일자리 지원 897억 원, 기초연금 5,631억 원, 경로당 지원 127억 원 등을 계상했다.

특히,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724억 원, 글로컬대학지원 150억 원, 교육발전특구 사업 20억 원 등 지역대학과자치단체가 상생협력해 지역 교육발전과 정주여건 개선을 강화했다.

미래 성장동력으로 일류경제 과학도시 실현을 위한 과학기술분야에는 6대 전략사업(우주항공·바이오헬스·나노반도체·국방·양자·로봇)을 중심으로 바이오창업원 조성 86억 원, 마중물 플라자조성 79억 원, 방산혁신클러스터 사업 및 로봇드론센터 조성 40억 원, 카이스트 개방형 양자팹구축 20억 원, 우주산업혁신 기반 및 위성 개발 등 33억 원 등을 편성했다.

예산안은 시의회 심사와 의결을 거쳐 12월 15일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뉴스티앤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