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조정 중단 없으면 전면 투쟁"…조정 종료로 쟁의권 확보
내달 1일 '준법 운행' 돌입 예고…출퇴근길 시민 불편 우려

서울지하철 1~8호선을 책임지는 서울교통공사 제1노동조합이 다음 달 12일 전면 파업을 예고하며 교섭 압박 수위를 끌어올렸다. 노조는 25일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조정 절차 종료로 쟁의권을 확보했다"며 "서울시와 공사가 구조조정 강행 기조를 유지한다면 전면적 파업에 돌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노사는 앞서 서울지방노동위원회 조정을 거쳤지만 조정 기간 만료로 절차가 종료됐다. 제1노조가 지난 14~19일 실시한 쟁의행위 찬반 투표 역시 80% 넘는 찬성률로 가결되면서 합법적 파업권을 확보한 상태다. 제2노조와 MZ 성향 노조인 올바른노조도 각각 조정 중지와 쟁의행위 투표 가결로 파업권을 얻었다.
1노조는 올해 임금·단체협상에서 △대규모 인력 감축 중단 △운영 안전 인력 확충 △부당 임금 삭감 해소 △신규 채용 정상화 △직업성 암 등 안전 대책 보완 △지하철 재정 안정 대책 마련 등을 핵심 요구로 제시하고 있다. 공사가 재정난을 이유로 정부 임금인상률(3%)보다 낮은 1.8% 인상만 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힌 점도 쟁점으로 꼽히고 있다.
노조는 오는 27일 서울시청 앞에서 대규모 결의대회를 열어 파업 준비 체계에 돌입한다. 다음달 1일부터는 출입문 지연 개폐와 저속 운행 등 규정 내 '준법 운행'을 시행해 안전 기준에 따른 업무만 수행한다는 계획이다. 준법 운행이 시작되면 출퇴근 시간대 열차 지연이 불가피해 시민 불편도 예상된다.
공사는 만성 적자 해소를 위해 조직 효율화와 정원 감축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지만, 노조는 현장 안전과 서비스 유지가 어려워질 수 있다고 반발한다. 특히 신규 채용 규모와 시기는 서울시 승인 없이 단독 추진할 수 없다는 공사 측 입장과 노조의 '정상 시행' 요구가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노조는 "서울시가 기존 기조를 바꾸지 않는다면 총파업은 예정대로 진행될 수밖에 없다"며 "남은 기간 동안 서울시와 공사가 책임 있는 협상 태도를 보일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