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포구의회 ‘1인가구 통합돌봄 연구회’ 소속 의원들이 연구활동 일환으로 현장답사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마포구의회 제공
마포구의회 ‘1인가구 통합돌봄 연구회’ 소속 의원들이 연구활동 일환으로 현장답사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마포구의회 제공

마포구의회가 추진 중인 ‘1인가구 통합돌봄’ 연구 활동이 구체적인 벤치마킹 단계로 접어들었다. 연구회 대표의원 오옥자 의원을 비롯한 연구회원들은 18일 은평구 ‘살림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을 찾아 지역 기반 돌봄 모델을 직접 점검했다.

이번 현장답사는 마포구에 적용 가능한 통합돌봄 체계를 모색하기 위한 취지로 진행됐다. 연구회는 지역사회 주도로 운영되는 의료·복지·돌봄 서비스 구조를 확인하며, 협동조합 방식이 갖는 지속성과 지역 참여 기반을 중점적으로 살폈다.

살림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은 주민이 직접 참여해 만든 의료·복지 통합기관으로, 양·한방 진료와 치과 등 1차 의료뿐 아니라 정신건강 서비스, 방문요양 등 생활밀착형 돌봄 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이날 최순옥 이사장은 조합 설립 목적과 운영 방향을 설명하며 지역사회 중심 돌봄 모델의 현황을 공유했다.

의원들은 건강관리 지원 사업 ‘건강이웃’, 재택의료센터 운영 사례, 노인일자리 연계 프로그램 등 다양한 현장 활동을 살펴봤다. 이어 협동조합과 지자체 간 협력 방식, 민·관 연계 돌봄 체계 구축 방법 등을 질의하며 마포구 실정에 맞춘 정책 적용 가능성을 점검했다.

오옥자 의원은 “현장에서 확인한 모델은 주민 참여가 일상이 되는 건강 공동체의 사례”라며 “마포구 1인가구 돌봄 정책이 단순 전달 체계를 넘어 지역 안에서 지속되는 구조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구체적 대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티앤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