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중구가 겨울철 한파에 대비해 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현장 중심 발굴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구는 11월 공동주택을 시작으로, 12월에는 주민 생활과 밀접한 상가·점포를 찾아가는 ‘복지사각지대 발굴 설명회’를 이어가며 민관 협력 기반을 확장하고 있다.
중구는 지난 10~11일 남산타운아파트, 약수하이츠, 신당삼성아파트, 신당래미안하이베르, 청구e편한세상 등 9개 공동주택 관리사무소를 방문해 설명회를 진행했다. 회의에서는 월세·관리비 연체, 독거 어르신, 저장강박 의심 가구 등 공동주택에서 자주 접하는 위기 사례를 공유하고, 발굴 및 연계 절차를 안내했다.
현장 간담회에서는 관리사무소 측이 파악해온 치매 의심 어르신, 관리비 장기 연체 가구 등 실제 사례가 논의됐고, 일부는 복지 대상자로 연계해 지원이 이뤄졌다. 구는 공동주택 내 위기가구 신고 안내 문구를 적극 홍보해줄 것을 요청했으며, 관리사무소 관계자들은 협력을 약속했다.
한 관리사무소 관계자는 “어려움을 겪는 주민들이 적지 않지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제도가 다양하다는 점을 새롭게 알게 됐다”며 “앞으로 세심하게 살피겠다”고 말했다.
중구는 올해 초부터 민간 협력 기반을 꾸준히 넓혀왔다. 2월에는 복지관 생활지원사·명예사회복지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열었고, 3월에는 의료기관과의 협력체계를 강화했다. 7월에는 신용회복위원회 서울강원지역본부와 협약을 체결하며 발굴망을 더욱 촘촘하게 구축했다.
구는 12월에도 부동산, 미용실, 약국 등 주민 접점 업종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이어갈 계획이다. 구 관계자는 “도움을 청하지 못하는 이웃들이 지역 곳곳에 숨어 있다”며 “특히 겨울철 취약계층 보호를 위해 주변의 작은 신호에도 관심을 가져달라”고 당부했다.
중구는 올해 1~3분기 520여 건의 위기가구를 발굴해 다양한 복지서비스를 연계했다. 위기 상황을 발견한 주민은 가까운 동주민센터나 각종 복지 상담 창구를 통해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