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시정연설서 내년도 군정 방향·예산 발표

김돈곤 청양군수가 2026년을 ‘청양의 미래 10년을 결정지을 해’로 규정하고,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의 성공적 안착을 위해 군정 역량을 총동원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천명했다.
김 군수는 25일 오전 열린 청양군의회 본회의 시정연설에서 내년도 군정 운영 방향과 5,678억 원 규모의 예산안을 설명하며 이같이 밝혔다.
청양군이 제출한 2026년도 예산안은 올해보다 2.8% 증가한 규모다. 일반회계는 5,620억 원으로 150억 원 늘었고, 특별회계는 58억 원으로 10% 가까이 확대됐다.
김 군수는 “한정된 재원이지만 군민 삶의 질과 직결되는 복지·보건·농업·지역활력 분야에 우선순위를 두고 효율적으로 배분했다”며 “사업 타당성이 낮은 분야는 과감히 구조조정해 재정 건전성을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최대 현안인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에 대한 재정 부담 우려를 일축했다. 김 군수는 “지방교부세 회복세와 국·도비 확보 증가, 재정 구조 개편을 통해 군 재정에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도 지속 가능한 기본소득 모델을 만들 자신이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김 군수는 2026년 추진할 6대 군정 방향으로 ▲정주 환경 개선 및 지역 활력 제고 ▲경쟁력 있는 농업 기반 구축 ▲체감형 복지 서비스 확대 ▲생활 인구 확대를 통한 경제 활성화 ▲공동체 역량 강화 및 주민 참여 확대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 성공 추진을 제시했다.
또한 민선 7·8기 동안 공모사업 271건 선정으로 6,835억 원의 국·도비를 확보하고, 도 단위 공공기관 4곳을 유치하는 등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뒀다고 평가했다.
내년에는 이러한 성과들이 가시화될 전망이다. 충남학생건강교육센터와 충남기후환경교육원이 3월 문을 열고, 칠갑타워와 칠갑지구 야간경관 사업, 금성백조 민영 골프장이 본격 운영되면서 교육과 관광 분야의 도약이 기대된다. 복지 분야에서도 청양행복누리센터와 정산다목적복지관이 완공돼 서비스 질을 높인다.
김돈곤 군수는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은 청양군의 인구·경제·농업 구조를 근본적으로 바꿀 기회”라며 “군민과 함께 이뤄온 성과에 안주하지 않고, 멈춤 없는 성장과 발전으로 더 나은 청양을 만들겠다”고 다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