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 3만7,325명 중 응시율 43.32%…전자기기 보관 봉투·금속탐지기로 부정행위 차단

중앙대는 논술고사 시 전자기기 보관용 보안봉투를 통해 전자기기 사용을 미연에 방지한다. 논술고사에 참여한 수험생이 안내에 따라 전원을 끈 전자기기를 보안봉투에 넣고 있다.
중앙대는 논술고사 시 전자기기 보관용 보안봉투를 통해 전자기기 사용을 미연에 방지한다. 논술고사에 참여한 수험생이 안내에 따라 전원을 끈 전자기기를 보안봉투에 넣고 있다.

중앙대학교는 22일과 23일 서울캠퍼스에서 치러진 ‘2026학년도 수시모집 논술전형 논술고사’를 수험생과 학부모의 높은 관심 속에 안전하고 공정하게 마무리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전형에는 총 3만7,325명이 지원했으며, 고사 이틀간 자연계열(22일)과 인문계열(23일) 논술고사가 차분한 분위기 속에서 진행됐다.

전체 응시율은 43.32%로 전년 대비 1.06%포인트 상승했다. 계열별로는 인문계열 응시율이 42.07%로 0.10%포인트 소폭 상승했고, 자연계열은 44.48%로 2.01%포인트 올라 전체 상승을 견인했다.

중앙대는 이번 응시율 상승의 주요 요인으로 수능 최저학력기준 산정 방식의 영향(영어 등급 산정 규정)을 분석했다. 특히 올해 수능 영어가 까다롭게 출제됐음에도 중앙대의 최저 산정 방식이 동일 수준 대학 대비 실질 충족률을 높였다는 설명이다.

공정성 확보를 위해 중앙대는 지난해 도입해 효과를 확인한 ‘전자기기 보관용 보안봉투’를 올해도 운영했고, 화장실 이용 시 금속탐지기를 통한 검사도 병행해 전자기기 이용에 의한 부정행위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했다.

수험생 편의를 위한 운영도 눈에 띄었다. 중앙대는 고사장 분위기와 절차를 사전에 익힐 수 있는 ‘논술고사 시뮬레이션 영상’과 지하철 역사에서 각 고사장까지의 동선 안내 영상을 배포했고, 이동이 불편한 수험생을 위한 수송용 차량을 운행하는 등 세심한 지원을 제공했다.

이상명 입학처장은 “올해 논술고사는 응시율이 상승한 가운데 공정하고 엄정한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부정행위 예방에 최선을 다했다”며 “특히 고사장 길 안내 영상 등 수험생의 불안감을 덜어 실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세심히 지원했다”고 밝혔다.

학부모들이 퇴실하는 수험생들을 맞이하고 있다.(정문)
학부모들이 퇴실하는 수험생들을 맞이하고 있다.(정문)

2026학년도 중앙대 논술전형 합격자 발표는 12월 12일(금) 오후 2시 중앙대 입학처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뉴스티앤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