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도서관 최초 감정분석 기반 맞춤추천 도입…미래형 AI 도서관 모델 제시

성균관대 학술정보관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 기념사진(왼쪽부터) 성균관대 손태익 학술정보팀장, 장석종 책임
성균관대 학술정보관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 기념사진(왼쪽부터) 성균관대 손태익 학술정보팀장, 장석종 책임

성균관대학교 학술정보관이 국립중앙도서관이 주최한 ‘제19회 도서관 혁신 아이디어 및 우수 현장사례’ 공모전에서 우수 현장사례로 선정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우수상)을 수상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선정은 디지털 교육 환경 변화 속에서 대학도서관 최초로 개발·운영한 ‘지능형 서비스’가 실제 현장 적용을 통해 새로운 미래형 도서관 모델을 제시한 점이 높이 평가된 결과다.

학술정보관이 개발한 지능형 서비스는 이용자의 질문 의도와 감정을 분석해 맞춤형 도서를 추천하고, 정보 검색 과정에서 보다 혁신적인 탐색 경험을 제공하는 ‘공감형 서비스’로 구현된 것이 특징이다.

단순 정보 제공을 넘어 이용자의 정서까지 고려한 서비스 설계로 기존 기능 중심의 도서관 서비스 패러다임을 확장했다는 점이 심사에서 주목을 받았다.

최형기 학술정보관장은 “이번 수상은 대학이 추진해온 디지털 혁신 노력이 외부에서 인정받은 의미 있는 성과”라며 “이용자 중심 학술정보 서비스를 통해 국내 대학도서관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고, 미래 지능형 도서관 생태계를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학술정보관은 이번 수상을 계기로 지능형 서비스 고도화와 이용자 의견 반영을 통한 기능 개선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향후 AI 기반 연구정보 서비스와 맞춤형 정보 큐레이션 등 심화 서비스를 확대해 대학 구성원이 보다 편안하고 풍요로운 학습 환경을 누릴 수 있는 ‘AI 공감형 도서관’ 구축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뉴스티앤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