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6개월간 정부출연 110억 지원…차세대 AI 반도체 핵심기술 개발·석·박사급 인재 양성 본격화

성균관대 AI반도체혁신연구소 개소식 VIP 단체사진
성균관대 AI반도체혁신연구소 개소식 VIP 단체사진

성균관대학교는 11월 18일 ‘AI반도체혁신연구소’ 개소식을 열고 차세대 AI 반도체 핵심 기술 연구와 석·박사급 전문 인재 양성을 위한 본격적인 행보를 시작했다고 21일 밝혔다.

연구소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이 주관하는 ‘2025년 산학연계 AI반도체 선도기술 인재양성 사업’ 선정으로 설립됐으며, 향후 5년 6개월 동안 약 110억 원의 정부 출연금을 지원받는다.

연구소는 AI 반도체 분야의 소프트웨어·하드웨어 원천기술 개발을 핵심 과제로 설정하고, 석·박사급 연구인력 양성과 산업체와의 산학협력 네트워크 구축에 주력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차세대 신경망 가속기 설계, 에너지·연산 효율을 높이는 회로·소자 기술, AI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통합 플랫폼, 그리고 뉴로모픽·양자 연계 연구 등 광범위한 연구과제를 추진한다.

교육 측면에서는 산학연계 교과과정 운영, 현장 맞춤형 석·박사과정 지원, 인턴십과 공동연구를 통한 실무형 인재 양성에 중점을 둔다.

연구소는 국내 유망 반도체·AI 기업들과 협력해 공동 연구과제 발굴, 기술이전 및 인력 교류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연구 성과의 산업적 활용을 촉진할 방침이다.

또한, 국내외 학술 교류와 워크숍, 세미나 등을 정기적으로 개최해 연구역량과 네트워크를 확장할 계획이다.

대학 측은 이번 연구소 설립이 국가 차원의 AI 반도체 경쟁력 확보와 대학의 연구·교육 역량을 동시에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정부의 중장기 재정 지원을 기반으로 안정적 연구 환경을 마련함으로써 장기 프로젝트 수행과 글로벌 수준의 기술 축적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연구소는 향후 5년 반의 사업기간 동안 산학 연계를 통해 다수의 석·박사급 인력을 배출하고, 기술 사업화와 스타트업 창업 지원을 통해 국내 AI 반도체 생태계 활성화에 기여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대학은 연구 성과와 인재 배출 실적을 바탕으로 추가적 산학협력과 국제 공동연구 기회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번 개소식에는 대학 관계자와 연구진, 산업계 파트너들이 참석했으며, 향후 구체적인 연구과제와 협력사 명단, 교육 프로그램 세부 운영 계획은 순차적으로 발표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뉴스티앤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