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독립영화제·아시아대학생영화제 등 주요무대 약진…AI융합 교육 성과·촬영감독 국제 무대 진출 등 교육 경쟁력 입증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이 올해 국내외 유수 영화제에서 두드러진 성과를 내며 영화 교육의 경쟁력을 입증하고 있다.

전주국제영화제 진출작 10편에 이어, 오는 11월 27일 개막하는 제51회 서울독립영화제에는 총 1,805편 출품작 가운데 대학원 학생 작품 5편이 선정되는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들이 주요 영화제 무대에 이름을 올렸다.

페스티벌 초이스 부문에는 남서정 감독의 '울며 여짜오되', 문재웅 감독의 '정과 망치', 이승채 감독의 '호두나무', 손태겸 감독의 '악령'이, 새로운 선택 부문에는 공리혜 감독의 '오후의 가정음악'이 포함됐다.

해외 무대에서도 약진이 이어졌다. 11월 21일부터 베이징에서 열리는 제10회 아시아대학생영화제에선 첨단영상대학원 학생작 9편이 초청됐고, 올해 신설된 AI영화 부문에만 6편이 선정되며 중앙대의 AI·융합 교육 역량이 주목받았다.

김동하 감독('라스트 스탠드')은 개막식 연설자로도 참여한다.

폴란드의 권위 있는 촬영감독 영화제인 제33회 에너가 카메리마주 국제영화페스티벌에는 이승현 촬영감독이 영화학교 작품 파노라마 부문에 진출했고, 국내 장르 경쟁의 대표 무대인 제21회 미쟝센단편영화제에도 총 4편이 본선에 올랐다.

부산국제영화제와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등에서도 중앙대 작품들이 공식 초청 또는 본선 진출해 관객·평단의 호평을 받았다.

이창재 첨단영상대학원장은 “올해만 40편 이상의 학생 작품이 국내외 주요 영화제에 초청·본선 진출하는 성과를 냈다”며 “AI 시대 기술과 창의성 융합 교육이 결실을 맺고 있다. 학생들이 세계 무대에서 실험하고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계속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인도네시아 미니키노 필름위크 행사 사진
인도네시아 미니키노 필름위크 행사 사진

한편 중앙대는 인도네시아 발리의 미니키노 필름위크 초청, 교수진의 국제 세션 발표 등으로 교육 철학과 연구 성과를 국제적으로 확산하고 있어 향후 글로벌 협력과 학생 창작 활동의 확장이 기대된다.

저작권자 © 뉴스티앤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