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각·대부 절차 및 우수 사례 30건 수록

폐교재산 활용사례집 표지

충청남도교육청이 저출산과 고령화로 늘어나는 폐교의 효율적인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내놨다.

충남교육청은 20일 폐교재산의 정보를 공유하고 활용을 촉진하기 위한 ‘충청남도 폐교재산 활용사례집’을 제작해 배포했다고 밝혔다.

이번 사례집에는 폐교의 매각 및 대부 절차, 허용되는 사업 범위, 대부료 산정 방법 등 실무적인 정보가 담겼다. 또한 현재 관리 중인 35개 폐교의 현황과 함께, 옛 도곡초등학교를 계룡상록어린이집으로 재탄생시킨 사례 등 총 30건의 구체적인 활용 예시가 수록됐다.

도교육청에 따르면 2025년 발생한 8개교를 포함해 도내 폐교는 총 280개에 달한다. 이 중 245개교는 매각되거나 교육기관 설립 등으로 처리가 완료됐으며, 현재 35개교가 관리되고 있다. 관리 중인 폐교 중 16개교는 자체 활용되거나 민간에 대부된 상태다.

도교육청은 폐교 활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올해 상반기 ‘제4기 폐교재산관리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공모사업을 통해 2개 학교를 농업 및 문화교육시설로 임대하는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사례집은 도교육청 누리집에 게시돼 지방자치단체나 개인 등 관심 있는 누구나 열람할 수 있다.

한기복 충남교육청 재무과장은 “이번 사례집이 폐교를 건전한 용도로 활용하고, 지역주민의 평생교육과 복지 기회를 넓혀 지역사회 발전에 보탬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티앤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