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반 위협 대응·위성통신 보안·지능형 방어체계 등 발표·토론 진행…사이버국방학과 신입생 맞아 교육·연구 체계 강화

세종대학교는 11월 7일 교내 대양AI센터에서 ‘2025 세종사이버보안워크숍(Sejong Cybersecurity Workshop 2025)’을 열고 학계·산업계·군 전문가들이 모여 AI 시대의 사이버안보 현안과 대응 전략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올해 4회를 맞은 이번 워크숍은 정보보호학과와 사이버국방학과가 공동 주최했으며, 국가 안보와 사회 안전 전반을 아우르는 사이버보안의 중요성을 공유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엄종화 총장은 환영사에서 “사이버보안은 더 이상 단순 기술 문제가 아니라 국가안보의 핵심”이라며 학·산·군 협력을 통한 미래 보안 환경 대비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행사에서는 국방전산정보원 김한성 원장과 사이버작전사령부 박준홍 부사령관이 축사로 국가 차원의 협력 중요성을 재확인했다.
워크숍 주요 세션은 △AI 기반 사이버위협 대응 △위성통신 보안 기술 △사이버전 대비 지능형 방어체계 등으로 구성돼 관련 기술·전략 발표와 패널 토론이 이어졌다.
특히 올해 신입생을 맞이한 사이버국방학과는 미래 사이버전 장교 양성 기관으로 주목받았고, 산·학·군 연계를 중심으로 한 실무형 연구 생태계 구축 계획이 소개됐다.
조직위원장 이종혁 교수는 “세종사이버보안워크숍이 국내 대표 연구교류 장으로 성장했다”며 “AI 시대에 맞는 실질적 협력체계와 인재 양성을 계속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세종대는 이번 워크숍을 계기로 산·학·군 연계 연구를 확대하고 차세대 보안 전문인력 양성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성영희 기자
heesy0508@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