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투자 과열·유럽·중국 부채 리스크·민스키 사이클 신호 포착…한국 경제에선 반도체 충격과 구조적 취약성 경고

불안정한 세계 경제를 진단한 전망서 『2026 세계 경제 시나리오』가 출간됐다.
저자 최윤식 아시아미래인재연구소 소장은 AI 투자 과열과 국가부채 리스크, 경기침체 신호를 근거로 2026년을 ‘자산 재편의 원년’으로 규정하고, 급격한 붕괴와 완만한 조정 등 복수의 시나리오에 따른 실천 가능한 대응 전략을 제시한다.
본문 아시아를 대표하는 미래학자 최윤식 소장이 집필한 신간은 총 4파트로 구성돼 글로벌 금융·기술·정치 변수가 얽힌 2026년의 경제 흐름을 입체적으로 분석한다. 책은 AI 투자 과열과 기술기업 중심의 버블 형성을 출발점으로 삼아 MIT·피치북·가트너 등 주요 기관들이 지적한 AI 투자 실망감, 현금 고갈, 기술적 한계 등을 근거로 ‘버블 균열’ 가능성을 제기한다. 특히 엔비디아 등 반도체·GPU 수요의 변화는 2000년 닷컴 버블을 연상시키는 위험 징후로 평가된다.
저자는 이 같은 ‘위태로운 균형’이 깨질 경우 전 세계 자산시장이 급격히 재편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며, 반대로 완만한 조정이 일어날 경우 기회 자산이 새롭게 부상할 수 있는 구조적 전환기라고 분석한다.
또 유럽과 중국에서 증폭되는 국가부채 리스크가 글로벌 금융 시스템의 취약 지점을 건드리는 메커니즘을 설명하고, 민스키 사이클 관점에서 현재 포착되는 경기침체 신호들의 의미를 해석한다.
한국 경제에 대해서는 비교적 날카로운 진단을 내린다. 저자는 반도체 산업이 AI 버블 붕괴의 직격탄을 맞을 수 있으며, 중국 경기 둔화의 전이효과와 내재된 취약성이 결합해 ‘한국형 민스키 모멘트’를 초래할 위험을 경고한다.
다만 기술·제조 중심 산업 재편과 정책적 대응이 병행될 경우 위기를 기회로 전환할 수 있다는 가능성도 제시한다.
출판사 넥서스BIZ 측은 “2026년은 기존 투자 공식을 재검토해야 하는 변곡점”이라며 “복합 위기 속에서 변화의 파도를 읽고 새로운 포지션을 잡는 데 이 책이 길잡이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자 최윤식은 세계전문미래학자협회(APF) 이사회 임원으로 활동하며 미래전략과 국가정책 자문을 병행해온 인물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