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용산구가 10여 년간 준비해온 지구단위계획 재정비가 본격 궤도에 올랐다. 서울 용산구는 기존 하나의 단일 체계로 운영돼 온 용산 지구단위계획구역을 6개 구역으로 세분화하는 방안이 지난 12일 서울시 도시·건축공동위원회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1995년 최초 지정 이후 330만㎡ 넘는 단일 구역 구조를 유지해 온 용산 지구단위계획은 행정처리 지연, 지역 특성 반영의 어려움 등 여러 한계를 안고 있었다. 이번 조정으로 구역은 ▲서울역 일대(71만㎡) ▲남영역 일대(36만㎡) ▲삼각지역 일대(73만㎡) ▲한강로 동측(40만㎡) ▲용산역 일대(105만㎡) ▲용산전자상가(12만㎡) 등 6개로 재편된다.
구는 이번 분할로 구역별 특성에 맞는 세부 계획을 추진할 수 있게 됐고, 행정 효율성 향상과 계획 정비 속도 개선이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특히 용산전자상가 일대는 11개 특별계획구역을 새로 지정하며 도시환경 개선과 산업 구조 전환을 위한 밑그림을 마련했다. 이 가운데 6개 구역은 이미 시 도시·건축공동위원회를 통과해 사업 윤곽이 어느 정도 드러난 상태다. 전자상가 주변 개발은 향후 용산국제업무지구 조성과 연계해 신산업 중심지로의 전환을 목표로 한다.
이와 함께 장기간 추진에 어려움을 겪은 용산우체국 주변 특별계획구역은 해제해 주민 개별 건축 요청을 반영하는 방향으로 전환됐고, 남영동 업무지구 특별계획구역은 옛길 보존과 기존 정비계획을 고려해 기존보다 더 세분화된 구조로 조정됐다.
주민 체감도가 높은 규제 완화도 포함됐다. 특별계획구역 내 일부 증축이 허용되고, 공동개발 지정 해제 및 용적률 완화가 적용된다. 제2·3종 일반주거지역의 한시적 용적률 완화도 함께 이뤄져, 주거지역 재정비에 대한 주민 요구가 일정 부분 반영될 전망이다.
박희영 용산구청장은 “이번 재편은 용산의 미래 구상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용산이 서울의 핵심 신(新)도심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기반을 지속적으로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