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만㎡ 규모 지방정원 조성 본격화…기후위기 대응·생태관광 중심지로 재탄생

경기도가 옛 안산시화쓰레기매립지를 생태문화 공간으로 되살리는 대규모 녹색 프로젝트에 본격 착수했다. 경기도는 17일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에서 ‘경기지방정원 조성공사’ 착공식을 열고, 새 공식 명칭을 ‘새로숲’으로 확정했다.
‘새로숲’은 ‘새로운 숲’, ‘다시 태어나는 자연’을 뜻한다. 한때 쓰레기와 오염의 상징이었던 공간을 회복과 공존의 정원으로 되살리겠다는 경기도의 의지가 담겼다.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녹색 전환의 상징이자, 도민이 함께 누리는 생태문화 거점으로 재탄생시키겠다는 메시지다.
조성 부지는 1987년부터 1992년까지 8개 시군의 생활쓰레기를 매립하던 장소였다. 폐기물 때문에 접근조차 어려웠던 곳이지만, 2016년 사후관리 종료 이후 활용 가능성이 열렸고, 이제는 정원문화와 생태 회복을 아우르는 대표 공간으로 거듭나게 됐다.
경기도는 총 989억 원을 투입해 약 45만㎡ 규모에 경기지방정원을 조성한다. 2021년부터 행정절차와 설계가 진행됐으며, 이번 착공으로 본격적인 공사에 들어갔다. 1단계 구역은 2026년 4월 개방 예정이며, 정원 18만㎡와 안산갈대습지 40만㎡를 연결해 도민에게 공개된다. 정원시설과 센터 건축을 마무리해 2027년 전체 개원을 목표로 한다.
주요 시설로는 정원지원센터·방문자센터를 비롯해 맞이정원, 감상정원, 휴식정원, 기후정원, 참여정원 등이 조성된다. 이들 공간은 단순한 관람형 정원이 아니라 교육·체험·휴식이 모두 가능한 복합정원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지역 농장, 정원 전문가, 시민정원사 등이 조성 과정에 참여해 ‘일하고 배우고 쉬는 정원 플랫폼’이라는 새로운 모델을 실현한다.
‘새로숲’은 주변 생태자원과의 연계도 강화한다. 안산갈대습지, 화성비봉습지 등과 연결해 정원–습지–수변을 잇는 생태벨트를 구축하고, 이를 경기도 남부권의 생물다양성과 친환경 관광을 대표하는 거점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장기적으로는 정원산업 박람회, 생태 투어, 교육프로그램 등을 운영해 정원문화 중심지로 발전시킨다는 구상이다.
이날 착공식에는 고영인 경기도 경제부지사를 비롯해 안산시·도의회 관계자, 시민정원사, 주민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구근식물 식재에 참여하며 ‘새로숲’의 첫걸음을 함께 기념했다. 또한 착공식에서 배출된 탄소량(3톤)을 산림탄소센터에서 흡수량을 구매해 ‘탄소중립 행사’로 인증받아 의미를 더했다.
고영인 경제부지사는 “‘새로숲’은 과거 쓰레기매립지라는 오명을 벗고 경기도가 선택한 녹색 약속의 상징”이라며 “기후위기 시대에 도민과 지구를 함께 치유하는 공간으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