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황 나아질 것이라는 희망 안보여"

지난 27일 찾은 대전 동구 중앙시장. 한 시간여 살펴본 시장거리는 한산한 모습이었다. / 뉴스티앤티
지난 27일 찾은 대전 동구 중앙시장. 한 시간여 살펴본 시장거리는 한산한 모습이었다. / 뉴스티앤티

“상황이 나아질 것이라는 희망이 안보여요..."

지난 27일 찾은 대전 동구 중앙시장. 매서운 한파도 문제지만 고물가 상황으로 전통시장 상인들은 그 어느 때보다 혹독한 겨울을 나고 있었다.

중앙시장에서 반찬가게를 운영해온 A 씨는 의자에 앉아 시장 거리를 내다보며 한숨을 내쉬었다. 치솟은 물가에 소비자들이 지갑을 굳게 닫은 탓이다.

A 씨는 “코로나가 한창일 때보다 오히려 지금이 더 힘들다”며 “주부들이 좀처럼 지갑을 열지 않는 것도 문제지만, 재룟값이 올라 팔아도 수지타산이 안 맞고 가격을 올리고 싶지만, 손님이 떨어질까 꿈도 못 꾼다”고 말했다.

40년 동안 한 자리에서 과일가게를 운영하는 B 씨도 판매 감소로 인한 고충을 늘어놨다.

B 씨는 “코로나도 문제지만 날이 추우니 사람들이 밖에 나오지를 않는다”며 “내년에는 좋아질 것이라는 희망이 안 보이니 더욱 버티기가 힘들다”고 한탄했다.

시장에서 50년 넘게 수건 가게를 운영하는 C 씨는 코로나19 여파도 있지만 유통환경이 온라인 중심으로 전환된 탓도 크다고 하소연했다.

C 씨는 “대형마트로 손님이 쏠리기도 하지만, 온라인 시장이 확대되면서 날이 갈수록 재래시장이 죽어가고 있다”며 “과거 10여 개 있었던 수건 가게가 이제는 네 군데밖에 남지 않았다”고 씁쓸한 표정을 지었다.

 

지난 28일 찾은 대전 서구 둔산동 번화가 / 뉴스티앤티
지난 28일 찾은 대전 서구 둔산동 번화가 / 뉴스티앤티

둔산동 번화가도 사정이 다르지 않다. 상인들 대부분이 원가 상승, 매출 감소, 인력난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입을 모았다.

일대에서 옷 가게를 운영하는 D 씨는 특히 10대~30대 젊은 층의 소비가 눈에 띄게 줄었다고 말했다.

D 씨는 "패션에 민감한 젊은 층이 주 고객이었는데 코로나19와 물가 상승 등 탓인지 종종 찾아왔던 어린 학생들도 요즘은 뜸하다"며 "그나마 늘 찾아 주시는 단골 손님들 덕분에 어느 정도 버티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낙지 전문점을 운영하는 E 씨는 치솟는 원가와 인건비 부담으로 최근 직원 둘을 줄였다. 더욱이 기준금리 인상으로 대출상환 부담도 누적돼 고민이 크다.

E 씨는 "최저임금은 계속 오르고 있지만 매출은 하락세"라며 "얼마 전 가족같이 함께 일했던 직원 2명을 정리해고할 수밖에 없었다."고 고충을 털어놨다.

이어 "낙지, 야채 등 원가도 10만 원대 가까이 올랐는데 대출이자는 또 어떻게 갚아야 할지 눈앞이 깜깜하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주점을 운영하는 F 씨는 수제맥주라는 특색으로 불황을 어느 정도 극복하고 있지만 정작 일할 사람이 없다고 토로했다.

F 씨는 "연말 특수는 사라진지 오래"라며 "코로나19에 따른 생활 패턴 변화, 월급은 그대로인데 물가는 오른 경기 불황 등으로 사람들이 지갑은 물론, 현관문도 잘 열지 않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직원 구하기도 하늘에 별따기"라며 "채용 공고를 통해 연락이 닿아도 정작 면접보러 오는 사람이 없는 경우가 허다하다"고 덧붙였다.

중소기업중앙회 '2023년 소상공인 경영환경 전망 및 경영애로 실태조사'에 따르면 300개 사 소상공인 중 56%가 내년 경영환경이 올해보다 악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악화 이유는 고물가에 따른 원가 상승과 수익 감소(52.4%), 기준금리 인상 등에 따른 대출상환 부담 증가(38.7%), 온라인·디지털 등 급변하는 산업환경에 대한 대응능력 부족(8.9%)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개선될 것이라고 내다본 소상공인은 10.3%에 불과했다.

가장 높은 기대 요인으로는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및 코로나19 종식에 따른 긍정적 효과(77.4%)를 꼽았다.

올해 가장 큰 경영애로는 자금조달(40%), 판로 확보(36%), 인력확보(16%) 순으로 응답했다.

내년 가장 우선시돼야 할 소상공인 지원책으로는 경영비용·대출상환 부담 완화(52.7%), 소기업·소상공인 대상 사회안전망 확충(28.3%), 비대면 소비 확산에 따른 판로 확대 지원(8.7%), 공정거래 기반 조성 위한 대기업 대상 규제 강화(5.7%) 순으로 조사됐다.

저작권자 © 뉴스티앤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