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치버그 공장 즉시 증설·국내 생산시설 4조원 투자 추진…2038년까지 바이오시밀러 41종 확보 목표

셀트리온은 19일 온라인 간담회에서 미국 공장 인수 즉시 증설과 국내 대규모 생산시설 확보, 2038년까지 바이오시밀러 41종 상업화 등 구체적 성장전략을 발표했다.

서정진 회장은 생산기지 확충과 신약(ADC·다중항체·비만치료제) 파이프라인 강화가 향후 실적 턴어라운드의 핵심이라고 밝혔다.

본문 셀트리온은 우선 미국 뉴저지 브랜치버그의 일라이 릴리 생산시설을 연내 인수하고 즉시 증설에 착수해 관세 리스크를 근본적으로 해소하겠다고 밝혔다.

1차로 11,000L 배양기 3기(3년), 2차로 동일 규모 3기(추후 수요 반영)를 더해 총 66,000L를 5년 안에 증설할 계획이며, 공장 인수·운영비와 증설비를 포함해 총 약 1조4천억원이 투입될 전망이다.

국내에서도 송도 액상 완제 공장 외에 원료(송도)·완제(충남 예산)·PFS(충북 오창) 생산시설 신설에 총 약 4조원을 투자해 공급망 분산과 지역 균형발전을 도모한다. 미국 공장은 주로 현지 물량을 담당하고, 기타 지역 공급은 국내 공장이 맡는 구조다.

파이프라인 측면에서 셀트리온은 현재 허가·상업화된 11개 제품을 포함해 2038년까지 총 41종의 바이오시밀러 확보를 목표로, 2030년까지 7종을 추가해 18종을 상업화할 계획이다. 자가면역·항암 중심의 강점을 유지하면서 아토피·혈우병·천식·면역항암 등으로 영역을 확장한다.

신약 개발은 ADC·다중항체 중심으로 2025년 임상 진입 파이프라인을 확대하고, 라이선스-인 도입 기술과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해 신속한 확장 전략을 취한다. 비만 치료제 ‘CT-G32’는 4중 타깃 작용제를 목표로 효능·부작용 개선을 제시하고 있으며, 2026년 전임상 착수를 계획하고 있다.

셀트리온은 이 같은 투자·파이프라인 확대를 바탕으로 올 4분기부터 가시적 실적 개선을 자신했다. 회사 측은 3분기 기저효과와 고수익 신제품의 성장으로 매출 및 영업이익률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저작권자 © 뉴스티앤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