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AI콘텐츠협회 'KACANOVA' 출범…김기동 협회장 "글로벌 무대 직행열차 만들 것"
데이터센터 냉각·우주 로봇·AI 점성술…'세상에 없던 기술'로 승부수

"대한민국의 기술력은 이미 세계적 수준입니다. 이제 필요한 것은 기술을 넘어설 '협상력'과 '자본'입니다."
24일 서울 강남구 더로아에서 한국AI콘텐츠협회(협회장 김기동)가 주최한 'KACANOVA 글로벌 데모데이 2025'가 열렸다. 이날 현장은 국내 벤처캐피탈(VC) 심사역들과 업계 관계자들로 붐비며 K-스타트업의 차세대 기술에 쏠린 관심을 실감케 했다. 이날 무대에 오른 기업들은 단순한 아이디어가 아닌, 수십 년간 축적된 기술력과 글로벌 시장에서 검증된 데이터를 무기로 내세웠다.
김기동 협회장은 "AI와 딥테크 분야에서 '한국판 유니콘'을 키워 나스닥(NASDAQ)에 입성시키는 것이 목표"라며 "이번 데모데이가 그 첫 번째 관문"이라고 강조했다.
"AI 칩 성능 저하 막아라"…데이터센터 열 잡는 'K-쿨링'

이날 가장 큰 주목을 받은 곳은 '열(熱)과의 전쟁'을 선포한 AIT-E(에이아이티이)다. 생성형 AI의 확산으로 데이터센터의 전력 소비와 발열 문제가 글로벌 IT 업계의 최대 난제로 떠오른 가운데, AIT-E는 독자적인 '하이브리드 액체 냉각 시스템'을 해법으로 제시했다.
발표에 나선 이도경 CTO(최고기술경영자)는 "글로벌 경쟁사들의 기술로는 AI 반도체(GPU) 표면 온도가 80℃까지 치솟아 성능 저하(스로틀링)가 불가피하다"며 "우리는 콜드플레이트와 복사냉각 기술을 결합해 이를 43~50℃ 수준으로 획기적으로 낮췄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SK하이닉스 등 대기업에 8년간 제품을 공급하며 기술 검증을 마쳤다"며 "최근 미국 기업과 차세대 소형모듈원자로(SMR) 분야 협업을 논의하는 등 글로벌 열 관리 시장의 '게임 체인저'가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달 기지 건설, 현대차·IBM과 함께"…우주로 뻗는 K-로봇

지구를 넘어 우주 시장을 겨냥한 스타트업도 눈길을 끌었다. 베이스앤파워시티(Base & Power City)는 2027년 본격화될 달(Moon) 기지 건설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이동욱 대표는 현대자동차그룹, IBM 등과 협업 중인 '로보틱스 시스템'을 공개하며 "유기체의 외골격 구조에서 영감을 받아 우주 방사능과 극한의 먼지를 견딜 수 있는 로버(Rover) 'VOLT-9'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특히 양자컴퓨팅(Quantum Computing)을 활용해 다수의 로봇을 제어하는 기술은 심사위원들로부터 "우주뿐 아니라 지구 내 교통 인프라 구축에도 즉시 적용 가능한 확장성을 가졌다"는 평가를 받았다.
130만 유저 홀린 기술로 '美 점성술 시장' 공략

B2C(기업·소비자 간 거래) 분야에서는 유어라운드(Uaround)가 228억 달러(약 32조 원) 규모의 미국 점성술 시장에 도전장을 냈다. 이미 얼굴 합성 앱 'Wefaceswap'으로 전 세계 130만 명의 사용자를 확보한 유어라운드는 AI 점성술 상담 서비스 '포춘피아(Fortunepia)'를 선보였다.
김지수 대표는 "미국 내 점성술 상담 비용은 분당 3~4달러에 달할 정도로 고비용 구조"라며 "생성형 AI를 통해 비용을 낮추고 24시간 상담을 제공해 시장의 판도를 바꾸겠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테스트 마케팅 결과, 미국 현지에서 'K-사주'에 대한 반응이 예상을 뛰어넘었다"며 내년 1월 런칭을 예고했다.

한편, 이날 행사에서는 국내 1호 협상 전문가인 박상기 BNE컨설팅 대표가 AI 협상 솔루션 '네고메이트(NEGOMATE)'를 시연해 눈길을 끌었다. 박 대표는 "수천 페이지의 계약서를 AI가 5분 만에 분석해 최적의 협상 시나리오를 도출한다"며 기술력은 갖췄으나 협상력이 부족한 국내 스타트업들에 필수적인 솔루션임을 강조했다.
행사를 주관한 박지영 노바벤처스 대표는 "국내 딥테크 기업이 '데스 밸리(죽음의 계곡)'를 건너기 위해서는 글로벌 진출이 필수"라며 "해외 투자사와의 긴밀한 연결을 통해 실질적인 스케일업(규모 확대)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김기동 협회장은 "이번 1기는 내실을 다지기 위해 프라이빗하게 진행했지만, 2기부터는 규모를 대폭 확대해 더 많은 스타트업에게 기회를 제공하겠다"고 향후 계획을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