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겨울철 누수 사고는 한파로 인한 배관 동파와 결로, 노후 배관 등에서 물이 새는 현상으로, 주로 바닥·벽면 습기나 곰팡이, 구조물 손상 등으로 이어진다.
특히 장시간 외출을 하게 되면 난방을 가동하지 않는 상태로 인해 보일러 배관 내부의 물이 얼어붙는 동파사고가 일어나기 쉽다.
기온이 영하 5도 이하로 급강하하면 배관 내 물이 얼어 팽창하고, 온수 가동시에는 수축하는 과정이 반복되다 보면 균열로 인한 파손·누수가 발생할 수 있고, 오래되거나 제대로 시공되지 않은 배관은 겨울철에 더 취약해 누수 위험이 높아지며, 외벽에 설치된 보일러나 결빙된 배수관 등도 사고 원인이 된다.
누수탐지전문 지원종합설비 측은 난방배관 누수 발생 시 추운 겨울에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는 불편을 겪을 수 있으므로, 초기에 예방하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했다.
겨울엔 보일러를 완전히 끄지 말고 ‘동파 방지 모드’를 유지하는 것이 좋으며, 외출 전에는 보일러 실내 온도를 15도~18도 정도로 유지하는 것이 적당하다.
수도꼭지는 온수 쪽으로 살짝 열어 물이 한 두 방울씩 떨어지도록 하면 배관이 어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외부에 노출 배관은 단열재로 감싸는 것이 좋다.
하지만 배관에서 물이 새거나 벽지 들뜸, 바닥 온도 불균형, 습기·곰팡이가 확인되는 경우에는 누수를 의심할 수 있으니 전문가를 통해 빠르게 점검 받아보는 것이 좋다고 설명했다.
관계자는 “누수가 생기는 원인이 무엇인지 정확히 파악해야 올바른 복구가 가능하다”며, “창원, 마산, 진해 지역에서 누수 탐지 전문으로 잘 알려진 지원종합설비에서는 열화상카메라, 청음기, 가스 압력 탐지를 통한 정밀 누수탐지부터 철거, 방수, 재시공 및 시공 후 압력 테스트까지 원스톱으로 누수 복구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10년 이상 된 아파트나 단독주택이라면 겨울을 대비해 배관 상태를 점검하는 것을 추천하고, 누수 의심상황 발생 시 아래층까지 누수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전문가를 통해 빠른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