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봇·반도체 등 미래기술 리더 대거 중용…세대교체 가속으로 차세대 경영진군 확대
삼성전자는 25일 2026년 정기 임원인사를 발표하며 부사장 51명, 상무 93명, 펠로우 1명, 마스터 16명 등 총 161명을 승진시켰다.
이는 2024년 11월의 137명(부사장 35명, 상무 92명, 마스터 10명)보다 확대된 규모로, 회사는 AI·로봇·반도체 등 핵심 미래 사업 분야를 중심으로 리더를 중용했다고 밝혔다.
회사는 산업 패러다임의 급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관련 분야에서 성과를 창출한 인재를 발탁했다고 설명했다.
불확실한 경영 환경 속에서도 사업 성과를 낸 인물들을 승진시키며 성과주의 원칙을 유지했고, 젊은 인재 중심의 세대교체를 가속화해 차세대 경영진 후보군을 확대했다.
이번 인사에서는 DX부문과 DS부문에서 AI·로봇·반도체 역량을 갖춘 인사들이 대거 포함됐다.
주요 승진자 가운데는 삼성리서치 데이터인텔리전스팀장 이윤수 부사장(50세), MX사업부 Language AI 핵심기술을 이끈 이성진 부사장(46세), 삼성리서치 로봇플랫폼팀장 최고은 상무(41세) 등이 있어 데이터·언어AI·로봇 분야 리더십을 강화했다.
반도체 분야에서는 메모리사업부 솔루션플랫폼개발팀장 장실완 부사장(52세)과 System LSI의 SOC 선행개발 리더 박봉일 부사장(53세), 반도체연구소의 펠로우 이재덕(55세)·마스터 강명길(43세)·김재춘(44세) 등이 포함돼 기술 경쟁력 확보에 무게를 뒀다.
또한 스마트폰·디스플레이·가전·네트워크 등 전통적 주력 사업에서도 상품기획·플랫폼·영업·기술 분야 리더들이 부사장과 상무로 승진해 제품 경쟁력과 사업 운영을 이어가도록 배치됐다. 특히 30대 상무와 40대 부사장 등 연공과 서열을 넘어 성과와 잠재력을 중시한 인사가 눈에 띄었다.
삼성전자는 이번 인사를 통해 미래 사업 전략을 신속히 실행할 인력풀을 확충하고, 글로벌 경쟁 환경에서 기술 리더십을 공고히 하겠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성별·국적에 관계없이 역량 있는 인재를 발탁해 다양성과 포용성을 강화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업계에서는 이번 인사가 AI·로봇·반도체에 대한 삼성전자의 전략적 투자를 재확인시켰으며, 빠른 의사결정과 실행력을 갖춘 젊은 리더층의 부상은 향후 제품 혁신과 시장 대응 속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삼성전자는 향후에도 성과 중심의 인사 원칙을 유지하면서 차세대 경영진 육성에 주력할 계획이다.
[전자(DX), 승진자 명단]
□ 부사장 승진
강민석 강상용 구자천 권정현 김문수 노성원 서치영 설지윤 설 훈 송인강 유종민 유한종 이민철 이성진 이윤수 이종규 이종포 정원석 정인희 정효명 조철호 최청호 최항석 한의택 황근철 황용호
□ 상 무 승진
강상균 고진일 곽호석 권기훈 권주성 김기현 김대영 김세웅 김 운 김원종 김지웅 김지은 김철민 김포천 김효정 문희철 박건호 박대순 박영재 박영진 박재우 박형규 안성호 안정식 양준원 엄윤성 유기훈 유상현 이강욱 이상석 이상엽 이상천 이성심 이세문 이승연 이승윤 이인실 이정준 이정환 이존기 이종덕 이종해 이진영 이충현 이태용 이형주 이형중 장 혁 전형석 정윤현 조승기 차완철 최고은 최동열 최보람 최성훈 최승기 한성웅 홍희영 황정호
□ Master 선임
강병권 고재연 김도형 우원명 이재성 최 진
[전자(DS), 승진자 명단]
□ 부사장 승진
권기덕 권혁우 김영대 김용찬 김이태 김정헌 김태우 김태훈 노경윤 박봉일 배상기 오형석 이강호 이병현 이종민 장실완 정광희 정용덕 정인호 조성일 조성훈 최정연 홍기준 홍희일 Jacob Zhu
□ 상 무 승진
강성석 경세진 권석남 권영헌 김경석 김경아 김경진 김대현 문성수 문원민 민경일 박성열 박준성 백승엽 서무현 성훈제 안재상 우성훈 우수영 유금현 유호인 이광우 이근석 이동환 이지현 이창훈 임경춘 전윤광 정재훈 조윤상 최동준 홍석구 황현익
□ Fellow 선임
이재덕
□ Master 선임
강명길 김재춘 김준수 남인철 노숙영 손영환 오길근 원복연 유준희 전하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