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효능·유사 식물 구별법 소개… "항산화·항염 효과 탁월"

봄철 입맛을 돋우고 건강까지 챙길 수 있는 특별한 약초가 있다. 바로 '왕고들빼기'다.
농촌진흥청은 환절기를 맞아 약초로도, 나물이나 김치로도 활용 가능한 왕고들빼기의 효능과 생김새가 비슷한 다른 식물과의 구별 방법을 소개했다.
'쓴 뿌리 나물'이라는 뜻의 '고돌채(苦葖菜)'에서 이름이 유래한 왕고들빼기는 쌉쌀하면서도 고소한 맛이 특징이다. 34월에는 어린잎을, 1011월에는 뿌리를 나물, 무침, 김치 등으로 다양하게 즐길 수 있다.
왕고들빼기는 몸에 좋은 항산화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농촌진흥청 분석 결과, 왕고들빼기 잎에는 뿌리보다 총 폴리페놀이 2배 이상, 총 플라보노이드는 약 10배 이상 더 많이 들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성분은 활성 산소를 제거하고 세포 노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왕고들빼기에 함유된 락투신 등 항염 성분은 체내 염증을 완화하고, 신경 안정 및 면역력 강화에도 도움을 준다. 한의학에서도 왕고들빼기는 몸의 열과 독소를 제거하고, 위장을 튼튼하게 하여 소화력을 높이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왕고들빼기는 노랑선씀바귀와 맛, 먹는 부위, 생김새가 비슷해 혼동하기 쉽다. 왕고들빼기는 잎이 깊게 갈라져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는 창 모양이며, 줄기에 털이 있고 하나의 굵은 뿌리가 아래로 길게 자란다.

반면, 노랑선씀바귀는 잎이 좁고 줄기에 털이 거의 없으며, 뿌리가 여러 갈래로 나뉘어 뻗는다. 또한, 7~9월경 노란색 꽃이 피는 것은 같지만, 왕고들빼기는 꽃줄기가 노랗고, 선씀바귀는 검은색을 띤다는 차이점이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특용작물이용과 김금숙 과장은 "토종 약초인 왕고들빼기는 봄철 입맛을 살리고 몸의 활력을 채워주는 데 안성맞춤"이라며, "앞으로도 잘 알려지지 않은 약초 자원의 잠재적 가치를 발굴하여 소비자 건강 증진에 기여하겠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