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명석 세종시교육감 예비후보
송명석 세종시교육감 예비후보

송명석 세종시교육감 예비후보는 6생활권에 들어설 산울초․중 통합학교 신설에 대해 적극 찬성한다고 21일 밝혔다.

송 예비후보는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경제적 논리, 학생들의 정서적 논리, 교육과정 운영의 논리, 학생들의 미래 비젼의 논리 등 몇 가지 이유와 함께 해외 성공 사례 등 통합학교 운영의 장점을 찬성의 대안으로 제시했다.

우선, 각 학교가 단독으로 설립되면 가장 좋지만, 학령인구 감소와 지역별 학령인구 불균형이 심각하기 때문에 통합학교가 필요하다.

두 번째로는 통합학교는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와 연계해서 미래시대, 미래사회에 대비하는 최첨단 교육환경을 갖출 수 있다. 즉, 미래형 통합학교엔 디지털 기반 스마트교실과 학생친화형 공간을 갖추고 지역사회와 함께 하는 것이 요구된다.

세 번째로는 ‘통합학교는 「초·중등교육법」 제30조(학교의 통합·운영)1)와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제56조2)의 규정에 근거하여 ‘효율적 학교 운영을 위해 학교 급이 다른 초‧중‧고등학교의 교육과정, 교직원, 행정 활동 및 예산, 시설 및 설비 등을 공동으로 활용하는 학교 운영 형태’에 근거하여 운영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넷째, 학생 인원수나 경제 논리에 의한 학교 통폐합이 아닌, 다른 방식의 접근이 모색되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그에 대한 대안으로 동일 학교 급의 통폐합이 아닌 다른 학교 급간의 통합 운영 형태가 제시해야 한다. 

다섯째, 학교는 지역사회의 경제적·문화적 활동의 중심이자 지역사회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담보하는 데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는 점에 주목해 볼 때, 통합학교는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농어촌 지역이나 구도심 등의 공동화 현상과 교육격차 심화를 해소하는데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여섯째, 초·중 통합학교의 장점을 학생 발달 단계에 맞는 교육과정 운영, 미래사회에 필요한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 운영, 학령인구 감소와 소규모학교의 증가에 대처하는 효율적인 교육과정 운영이 될 수 있기 위해서는 행․재정적 지원이 절실하다.

일곱째, 초저출산에 따른 인구 절벽과 4차 산업혁명으로 일컬어지는 미래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교육혁신이 요구되는 현 시점에서 6-3-3-4제의 기존 학제를 2(유)-5(초)-5(중․고)-2(직업)-4(대학)제, 즉 교육 공급자가 아닌 학습자 중심으로 접근하며, 경직된 기존의 틀을 벗어나 보다 유연하고 폭넓게 개선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성공적으로 통합학교를 잘 운영하는 외국 사례를 통해 많은 것을 배울 수가 있다. 워싱턴 통합한국학교 버지니아와 메릴랜드 캠퍼스의 만 4세-고교 12학년 학생을, MD는 만 4세-12학년생과 성인(한인 2세와 미국인)을 대상으로, VA캠퍼스에는 다른 한국학교에는 없는 한국 교과 과정반(초등 1-중 3학년)이 개설돼 단기 체류하는 주재원과 외교관 자녀의 학업을 돕고, 특별활동으로 한자반이 개설되기도 한다. 고교생들은 몽고메리 카운티 교육청에서 외국어 수강 학점으로 인정받기도 하고, 상급생 학생이 하급생 학생을 가르치며 멘토 역할을 하는 ‘띠앗’프로그램도 운영할 정도로 유명하다.

또한, 키르기스탄 쉬콜라(초·중·고 통합학교)는 한국어를 제2외국어로 채택하고, 학교의 학생들이 비쉬켁 한국교육원과 연계하여 통합학교 교육과정을 효율적으로 운영해오고 있다.

특히 송 후보가 근무했었던 호치민한국국제학교는 통합학교의 롤 모델이 될 정도로 유치원‧초‧중‧고가 한 캠퍼스에서 공부하면서 성공적으로 운영되는 좋은 예다. 교장1, 교감2(유․초1,중․고1)로 구성된 아주 큰 통합학교로 운영되고 있지만, 매우 성공적으로 운영되다보니 학교가 한인사회로부터 큰 칭송을 받고 있다.

송명석 세종시교육감 예비후보는 “현재 세종시 인구가 타 시도에 비하여 증가 추세인 것은 맞지만, 2025년을 기점으로 60여만 되던 우리나라 학령인구가 24만으로 급감될 것을 감안할 때, 무조건 현재의 유익함만 주장하는 것은 미래를 대비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통합학교 문제뿐만 아니라, 그 어떤 교육적 사안도 후보 간의 사사로운 이견과 갈등의 문제를 떠나 '이 문제가 교육적인가?' 혹은 '본질에 걸 맞는 것인가?' 그리고 '이 사안이 미래지향적으로 볼 때 가치로운가?'를 판단하여 그 유‧불리를 떠나 교육자적 양심과 소신에 따라 찬성과 반대를 표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뉴스티앤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