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보건의료 빅데이터 100만 명 이상 분석…임신 중 경구 스테로이드 사용군은 약 6%·위험비 1.01(95% CI 0.99–1.03), 다만 임신 4~6주 노출서 미약한 신호 관찰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신주영 교수 연구팀은 국내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이용한 대규모 역학분석 결과, 임신 중 경구 스테로이드제 사용이 전체적으로 임신성 당뇨병 발생 위험을 유의하게 증가시키지 않는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JAMA Internal Medicine에 12월 1일 온라인 게재했다고 26일 밝혔다.
연구팀(공동1저자 최은영 박사, 조용태 석박통합과정생)은 2010~2021년 출산한 임신부 중 임신 전 당뇨병 병력이 없는 100만 명 이상을 대상으로 의료기록을 분석했다.
성향점수 가중치로 연령·생활습관·동반질환·병용약물 등 교란요인을 보정하고, 검증된 알고리듬으로 임신성 당뇨병을 정의해 비교한 결과, 약 8만 명(전체의 약 6%)이 임신 중 경구 스테로이드제를 사용했음에도 비노출군과의 위험비는 1.01(95% 신뢰구간 0.99–1.03)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 결과는 스테로이드 종류·용량·투여시기 등 다양한 하위분석에서도 일관되게 관찰됐다.
연구진은 다만 임신 초기(임신 4~6주) 노출군에서 약간의 위험 증가 신호가 관찰돼 추가 분석과 검증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신주영 교수는 “스테로이드가 필요한 임신부는 임신성 당뇨에 대한 과도한 우려 없이 치료를 지속할 수 있다는 근거를 제시한다”면서도 “초기 노출 관련 결과는 신중히 해석해야 한다”고 말했다.

본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지원의 ‘다국가 임신부 네트워크 기반 약물 사용과 소아 장기 건강결과 평가’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됐다. 연구팀은 후속 연구를 통해 초기 노출 영향과 하위군별 위험을 추가로 규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