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당은 연속 성명, 지도부 3인은 성범죄 의원 감싸기·윤리위 무대응에 ‘적반하장’ 비판

더불어민주당 경기도당이 국민의힘의 혐오·차별 행태를 규탄하는 논평을 연이어 내고 있지만, 정작 경기도의회 민주당 지도부 내부에서는 ‘내로남불’이라는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민주당 김연 중앙당 선임부대변인은 20일, 국민의힘의 잇단 혐오·차별·성희롱 사건에 대해 “공당으로서 책임 있는 행동을 해야 한다”며 강도 높은 비판 논평을 발표했다. 김 대변인은 “가해자를 감싸고 피해를 축소하는 문화가 국민의힘의 실체”라고 지적하며, 도의회 내 성희롱 사건까지 거론했다.
그러나 지역 정치권에서는 “정작 민주당 도의회 지도부는 지난 7개월간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는 역풍이 거세다. 문제의 핵심은 국민의힘 소속 양우식 의원의 도의회 직원 성희롱 사건이다. 양 의원은 이미 검찰에 기소돼 있음에도 위원장직을 유지한 채 행정사무감사를 강행하려 했고, 이에 도 집행부와 노동조합은 “기소된 위원장이 감사를 주재하는 것은 도민 신뢰 파괴”라며 출석을 거부하고 있다.
이 사건이 처음 불거진 지난 5월, 경기도당은 성희롱 사건에 대해 강한 유감을 표명하며 징계를 촉구하는 성명을 냈다. 하지만 그 이후 윤리특별위원회는 7개월 동안 단 한 건의 징계결정도 내리지 못한 채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로 남아 있다. 그 사이 민주당 지도부 3인(김진경 대표의원, 최종현 전 대표의원, 장한별 현 윤리특위 위원장)은 책임 회피와 미온적 대응으로 논란의 정점에 섰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성범죄로 기소된 동료 의원을 사실상 감싸온 게 누구냐”며 “민주당 지도부가 최소한의 윤리적 책임도 다하지 않고 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민주당이 비판한 ‘가해자 보호·피해 축소’가 오히려 도의회 내부에서 되풀이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최근 민주당 지도부는 사태 해결보다 국민의힘 양우식 의원 감싸기에 동참하고 있는 모양새다. 지역 정가에서는 이를 두고 “7개월간 성비위 방치하던 지도부가 오히려 적반하장으로 책임을 돌리고 있다”고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정치적 공방이 이어지는 가운데, 시민사회에서는 “국민의힘이든 민주당이든 성비위에 대한 일관되고 단호한 조치가 필요하다”며 “말보다 행동이 중요하다”는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논평 속 ‘인권과 존엄’을 강조한 민주당이 스스로 언급한 기준을 도의회 내부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을지, 책임 있는 정치의 실천 여부가 도마 위에 올랐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