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도 구분 어려워..."시판 버섯 드세요"

마귀광대버섯(독버섯) / 충남도 농업기술원 제공
마귀광대버섯(독버섯) / 충남도 농업기술원 제공

산책이나 등산 중 마주친 야생 버섯. 화려하지 않으니 독버섯은 아닌 것 같고. 먹어도 될까?

장마 이후 습도가 높은 곳에 다양한 종류의 야생 버섯이 우후죽순 고개를 내밀고 있다. 

특히 여름철에 발생하는 야생 버섯은 대부분이 독버섯임에도 식용버섯으로 오인해 섭취하는 사고가 매년 발생하고 있다.

충남도 농업기술원에 따르면 국내에서 자생하는 버섯은 1900여 종으로 이 가운데 식용 가능한 버섯은 21%인 400여 종에 그친다. 이 중에서도 채취가 가능한 식용버섯은 30여 종에 불과하다.

문제는 2012년부터 2016년까지 독버섯 중독으로 75명의 환자가 발생했고, 이 가운데 7명이 숨졌다는 점이다.

 

독우산광대버섯(독버섯) / 충남도 농업기술원 제공
독우산광대버섯(독버섯) / 충남도 농업기술원 제공

독버섯은 흔히 화려한 색을 띠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같은 종이라도 주변 환경에 따라 색이 달라질 수 있다. 화려한 색깔을 지닌 달걀버섯은 식용버섯으로 분류되지만, 수수한 외형과 색깔을 지닌 독우산광대버섯은 맹독성 버섯이다.

독버섯을 먹게 되면 어지럼증과 구토, 설사 증상을 보이는데 독우산광대버섯이나 개나리광대버섯 같은 맹독성 버섯들은 손톱만큼만 먹어도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독우산광대버섯은 '아마톡신(amatoxin)'이라는 균독소를 지니고 있다. 아마톡신은 호흡기 자극, 두통, 현기증, 메스꺼움, 호흡곤란, 설사, 위장 장애 등을 일으키고, 간, 심장 등 여러 장기를 손상해 심하면 사망에 이르게 한다.

독버섯은 세로로 찢어지지 않는다거나 곤충이 먹은 흔적이 있는 버섯은 사람이 먹어도 괜찮다는 것 역시 잘못된 상식이다. 버섯 균독소의 작용은 종별 차이가 크다. 곤충이 먹었을 때는 괜찮았던 버섯을 사람이 먹으면 사망할 수도 있다. 달팽이, 개미 등은 독성에 상관없이 버섯을 먹기 때문에 곤충 등의 섭취 흔적만으로 버섯의 식용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가지나 들기름을 넣고 조리하면 버섯의 독성이 사라지기에 요리해서 먹으면 된다거나, 은수저를 변색시키지 않는 버섯은 먹어도 된다는 속설도 믿으면 안 된다. 독버섯의 독은 가열한다고 사라지지 않으며, 은수저를 변색시키지 않는 독버섯도 매우 많다. 아마톡신이 든 독우산광대버섯도 은수저를 변색시키지 않는다. 반면, 식용버섯인 표고버섯은 은수저를 변색시킨다.

 

표고버섯 / pixabay
표고버섯 / pixabay

충남도 농업기술원 김용균 버섯팀장은 “독버섯은 조리해도 독성분이 없어지지 않는다”며 “전문가들도 구분하기 어려운 야생 버섯은 절대 채취하지도 말고 판매되는 버섯을 이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스티앤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