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개월 후면 기상 데이터 저장공간 없어...최근 기술 발전으로 인한 데이터 생산량 폭발적 증가 예상 못해

장철민 의원 / 뉴스티앤티 DB
장철민 의원 / 뉴스티앤티 DB

기상청(청장 김종석) 수치모델을 통해 얻어진 기상데이터 저장 공간이 불과 5개월 분 밖에 남지 않았고, 마땅한 대책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장철민(초선, 대전 동구) 의원이 기상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기상청은 슈퍼컴퓨터를 이용한 수치모델 정보를 매일 41TB씩 생산하고 있으며, 현재 보유중인 저장소의 총 용량 36.1PB중 30.6PB(85%)를 사용하여 앞으로 5.5PB(15%)의 용량이 남았고, 단순 계산하면 5개월 남짓 분량이라고 밝혔다.

기상청은 슈퍼컴퓨터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진행하고 얻어지는 결과 값을 예보관이 분석하여 날씨 정보를 생산하고 있으며, 만약 데이터를 저장하지 못하면 과거 데이터를 삭제해야 하고, 극단적인 경우 기상예보 기능이 멈출 우려도 상존하고 있다.

기상청은 2018년 천리안위성 2A호기 발사로 고해상도 데이터 증가와 슈퍼컴퓨터의 계산 능력 향상 그리고 타 기관 빅데이터와 접목 등으로 2~3년 전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데이터 생산이 많아졌다고 설명했으나, 기상청은 2022년이나 되어야 저장소를 추가도입 하겠다는 계획이다.

기상청은 그때까지 현재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 중 이용 가능성이 떨어지거나 재생산이 가능한 데이터를 삭제하여 용량확보를 하겠다는 계획이며, 이마저도 ‘기상청 데이터 관리 및 제공 규정’상 임의 삭제가 불가능해 기상청 기록물평가심의회의 심의·조정을 거쳐야 가능하고, 데이터를 삭제할 경우 기상 빅데이터 활용 제약은 불가피하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의 장 의원은 “정부는 기상 빅데이터를 공익적, 산업적으로 활용 한다고 하면서 충분한 저장소도 마련해두지 않았다”고 지적한 후 “예보에 차질이 없도록 가능한 빨리 계획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한편, 1TB(테라바이트)는 1,024GB(기가바이트)의 용량이다.

저작권자 © 뉴스티앤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