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충남 혁신도시가 우여곡절 끝에 지난 8일 국가균형발전위원회 본의회를 통과했다. 아직 국토교통부장관의 지정 고시 절차가 남아 있지만, 국토교통부장관의 지정 고시 철차는 요식행위임을 감안할 때 대전·충남 혁신도시 지정은 확정된 것이나 마찬가지다.

대전·충남 혁신도시 지정안이 국가균형발전위원회 본의회에서 원안 가결되던 날 대전·충남 정치권을 비롯하여 시민사회단체 등 모두가 한 목소리로 환영 입장을 쏟아내기에 바빴다. 지금부터는 기쁨과 흥분을 잠시 가라앉히고, 혁신도시 지정 이후의 대전·충남 발전 방안을 심도 있게 모색해야 할 시점이다.

대전·충남은 16년 만에 혁신도시에 지정되면서 공공기관을 비롯하여 대학과 연구소 등을 유치해 지역 발전의 동력으로 삼아야 한다. 다른 지역은 혁신도시 지정으로 한국전력이 내려온다, 한국토지주택공사가 들어선다, 한국도로공사가 입주한다고 들떠 있을 때 대전과 충남은 ‘세종시에 행정수도가 건설되면 우리도 좋은 일이 있겠지’라는 생각으로 국가시책에 적극적으로 부응하겠다는 일념만 갖고 있었다.

하지만 그러한 순수하고 소박한 대전·충남인들의 마음과는 달리 현실은 혁신도시 지정에서 제외된 지난 16년 동안 대전과 충남은 다른 지역보다 발전이 뒤처지는 역차별만 받고 있었다. 특히, 대전은 세종시의 블랙홀 효과로 인해 인구가 급감하면서 150만이 무너졌고, 충남은 지난 2012년 세종시가 출범하면서 인구와 면적 감소는 물론 20조가 넘는 어마어마한 경제적 손실까지 입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대전과 충남인들은 그 동안의 역차별에 대해 ‘벙어리 냉가슴 앓듯’ 혼자 속으로 끙끙 대고만 있었다.

이제 대전·충남은 혁신도시 지정을 발판으로 지난 16년 동안 받아왔던 역차별을 극복해야만 한다. 한 가지 우려스러운 부분은 지난 16년 동안 주요 공공기관이 이미 다른 지역으로 옮긴 상황에서 얼마 남아 있지 않은 공공기관을 비롯한 대학과 연구소 유치를 위해 대전·충남이 지나친 유치 경쟁으로 서로 간에 상처를 주지 않을까 하는 점이다. 대전과 충남은 한 뿌리이다. 충청남도 대전시가 1989년 1월 1일 대전직할시로 분리될 당시 심대평 충남지사는 충남의 알짜배기 稅收源(세수원)이었던 신탄진을 통 크게 대전직할시에 양보한 바 있다. 2012년 7월 1일 탄생한 ‘행정수도 세종’ 역시 충남의 통 큰 양보로 지금에 이르렀다는 점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대전과 충남이 지난 16년 동안 역차별을 받았던 同病相憐(동병상련)의 마음으로 혁신도시 지정 이후의 공공기관을 비롯한 대학이나 연구소 유치에 있어서도 선의의 경쟁을 통해 서로간의 출혈을 최소화하길 바란다. 그것만이 한 뿌리라는 동질감과 ‘충청’이라는 한 이름 안에서 혁신도시로 새로운 활력을 찾고, 세종시의 ‘행정수도 완성’을 통한 동반 성장을 꾀할 수 있는 방법이며, 향후 ‘충청중심론’과 ‘충청대망론’을 실현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뉴스티앤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