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국회 총선서 심판해야

김강중 편집국장
김강중 편집국장

이제 총선정국이다. 21대 국회의원 선거가 두 달 남짓이다.

민심을 등진 채 밥그릇 싸움만 벌인 막장 동물국회를 심판해야 한다. 정권에 대한 중간평가 의미도 커서 중차한 선거라 하겠다.

총선이 다가올수록 또다시 고민이 시작됐다. 참신한 인물, 마뜩한 정당이 없기 때문이다. 답 없는 문제를 풀듯 누군가를 뽑아야 한다는 강박이다.

'백락(伯樂)의 눈'을 갖지 못해서 선거결과는 늘 허탈로 끝났다. 그 배반의 허탈을 장(醬)에 지졌다면 남아있을 손가락도 없을 터이다.

그렇다고 투표의 권리를 포기할 수도 없는 일이다. 후지고 찌질한 '국회의원'을 뽑는 일은 구차스럽기 짝이 없다.

그렇다 해도 정치를, 정권을 심판할 수단이니 포기할 수도 없다. 속절없는 일이니 어찌할 것인가. 배신감은 접어두고 통렬한 메시지를 던져야 한다.

선거를 통한 변혁을 모색할 엄중한 시기인 만큼 더욱 그러하다.

돌아보면 우리 현대사는 위기의 연속이었다. 하지만 작금의 상황은 대한민국 존망이 달린 문제여서 중요한 선거가 아닐 수 없다.
정치 경제는 물론 외교 안보 사회 총체적인 위기라는 것이 중론이다.

허울의 '보혁'의 양 진영은 편을 가르고 '묻지 마'식 지지에 매몰돼 있다. 그런 사이 기적을 이룬 GDP 3만 달러 우리 경제는 휘청거리고 있다.
한가한 정쟁 속에 먹고사는 일은 뒷전이다. 4월 총선과 후년의 대선에 대권 놀음에만 혈안이다.

설상가상 코로나 여파로 경제는 나락이다. 울산시장 부정선거 의혹 등 권력 남용을 놓고 청와대 검찰 간 공방이 뜨겁다.
아무래도 이번 총선은 국정 농단과 변칙의 선거법, 검찰 개혁이 이슈가 될 전망이다. 여기에 실패한 소득주도 성장론의 경제정책도 심판대에 오를 것이다.

대전의 경우는 어떠한가. 총선에 나서는 예비후보자들로 분주하다. 선거철에만 나긋한 이들의 행보는 표(票)를 구걸하려는 속내가 뻔하다.
지역을 이 지경으로 만들어 놓고 일말의 반성이나 사과도 없다. 염치없게 아무런 잘못이 없다는 식이다. 그러고도 지역 일꾼 적임자라며 선수(選數)를 늘려달라고 한다.

대전의 국회의원 의정활동을 보자. 국회의장, 부의장에 오른들 지역발전에 기여한 것이 전무하다.
5선, 4선에 재선의원 세 명을 두고도 KTX 서대전역 하나를 지키지 못했다. 뿐인가. 철도도시를 장담하던 철도박물관 유치도 흐지부지다. 

국제과학벨트 지연은 물론 번듯한 국가산단 하나 유치를 못하고 있다. 그 결과 대전은 과학, 행정, 철도도시 명성이 퇴색된 지 오래다.
이제는 출생률 감소와 노령화, 한 해 1만 명이 세종시로 이주하는 쇠락의 도시로 전락했다. 기업과 사람, 기차가 떠났다.

이들의 공약 이행률은 10%선에 그쳤다. 뱀의 혀처럼 유권자를 기만한 것이다. 애당초 지역 발전 인물로는 '족탈불급'이었다. 
본디 국회의원 자리는 권리만 누릴 뿐 책임을 지지 않는 자리다. 이런 단맛을 알기에 변호사, 판·검사, 언론인들이 안달복달 하는 것 아닌가.

이번 총선은 유효투표 3%만 득표해도 비례 한 석이 배정된다. 졸속 선거법 개정이 취지와 달리 군소정당을 난립케 만든 것이다. 
지역구나 비례나 총선이 다가올수록 유권자에게 허리를 낮추고 표심을 현혹할 것이다.

오만한 여당, 혁신 없는 제 1야당 그리고 선거철이면 나타나는 부스러기 정당들 뿐이다. 이러니 선거로 무엇을 바꿀 수 있을까하는 회의는 당연한 일이다. 
지지할 후보, 정당이 없더라도 차악(次惡)이라도 한 표를 던져야 한다. 우리 역사의 분수령은 언제나 분연한 국민들이 돌려놨다.

저작권자 © 뉴스티앤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