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성복합터미널, 방치 대신 결심을'이라는 보도자료 배포

바른미래당 남충희 대전 중구 지역위원장 / ⓒ 뉴스티앤티
바른미래당 남충희 대전 중구 지역위원장 / ⓒ 뉴스티앤티

바른미래당 남충희 대전 중구위원장이 유성복합터미널에 대한 해법을 제시했다.

김재혁 신임 대전시 정무부시장으로부터 경제전문가라는 평가를 받으며 아이디어와 경험을 구하겠다는 이야기를 들은 바 있는 남 위원장은 지난달 10일·22일·28일에도 대전의 현안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해법을 제시하면서 내년 21대 총선을 향한 발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남 위원장은 9일 ‘유성복합터미널, 방치 대신 결심을’이라는 보도자료를 배포하고, 대전 발전과 시민을 위한 유성복합터미널의 해결 방안을 제시했다.

남 위원장은 “유성복합터미널 사업은 지난 10여 년 간 세 번이나 좌초되며 소송에 휘말리더니 이제 경찰 수사까지 받게 되었다”면서 “토지소유주인 대전시와 시행을 맡은 대전도시공사가 오너인데, 8,000억원 규모의 중요한 대형사업을 추진하면서 SPC의 경영권을 움켜쥔 ㈜KPIH에 전적으로 맡겼다”며 “SPC의 이사진에 참여하지도 않았고 직원 파견도 없었으며, 경영 내부를 들여다보지 못한 채 상황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구조에서 애초부터 책임지는 자세가 없었다”고 비판하며 유성복합터미널 개발사업의 구조적 문제를 지적했다.

남 위원장은 이어 “대전시와 대전도시공사의 개발사업 역량강화가 시급하다”고 운을 뗀 후 “대전시장이 책임지고 나서 도시공사의 개발사업 관리역량을 대폭 증강하라고 지시해야 한다”면서 “고액의 연봉을 주더라도 개발사업 전문가들을 다수 채용하는 것이 훨씬 남는 장사라”며 “스페인 빌바오의 구겐하임 박물관이 도시를 살렸듯이 대전의 미래를 살릴 개발사업의 창의력 발휘도 안목을 갖춘 전문가들의 포진 시에만 가능하게 된다”고 주장했다.

또한 남 위원장은 “유성복합터미널 개발 사업은 이미 실패의 경로에 들어섰다”고 언급한 후 “회복은 불가능해 보이고, 안타깝게도 사업계획서에 이름을 올렸던 자본금 투자자들, 주요 입점 업체들(영화관, 대형서점 등), 시공사 등이 지금은 자취를 감췄다”면서 “금융주관사는 벌써 세 번이나 바뀌었고, 본계약 체결도 지각, 협약이행보증금 납부도 지각, 애초 제출했던 사업계획서의 거의 대부분이 실행되지 못한 상태여서 협약 파기 사유가 충분하다”며 “더구나 금융주관사가 주선하는 프로젝트 파이낸싱을 통한 총 사업비 조달이 확약되지 못한 상태이고, 혹여 600억 원을 급히 차용해서 토지대금을 납입하더라도 이는 폭탄을 끌어안은 사업이 된다”고 강조했다.

남 위원장은 유성복합터미널 개발 사업의 전제조건으로 대전시장의 결심을 꼽았다. 남 위원장은 “대전시장의 결심은 누구도 대신하지 못한다”고 운을 뗀 후 “계약을 파기하고, 새로 시작하는 것이 현명하다”면서 “정답은 도시공사가 재무적/전략적 민간 투자자들을 모아서 함께 SPC에 자본금을 투입한 후 도시공사가 경영권을 행사하는 ‘제3섹터 방식’의 추진이라”며 “혹여 민간 투자자가 지배주주가 되어 경영을 맡는 구조를 택한다면, 도시공사는 이사회에 참여하여 경영을 감시할 수도 있다”고 역설했다.

남 위원장은 끝으로 유성복합터미널 개발 사업의 성공을 위해 제3섹터 방식의 개발사업 추진을 제안했다. 남 위원장은 “관리 능력이 떨어지는 공공이 사업의 추진을 명성이 낮은 민간에게만 맡겨 놓으면, 사업의 공공성을 높일 수 없다”면서 “대전의 미래를 생각하지 않는 민간 사업자는 조잡한 상가를 만들어 놓고 떠나면 그만이라”며 “유성복합터미널 개발사업의 앞길이 뻔히 내다보이는 상황에서 오너의 역량 강화와 제3섹터 방식의 새로운 추진 외에는 답이 없으며, 대전 서북부의 새로운 랜드마크로서 대전의 미래를 만들어내는 개발 사업은 가능한 현실에서 방치 대신 결심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피력했다.

한편, 제3섹터란 공공부문(제1섹터)과 민간부문(제2섹터)이 공동으로 출자하는 사업체를 의미하며, 사업의 공공성을 높일 수 있고, 민간의 창의력과 효율성도 살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저작권자 © 뉴스티앤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