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대 총선이 불과 1년 앞으로 다가왔다. D-366일. 내년 4월 15일 치러지는 21대 총선을 앞두고 현역 의원들은 자신의 치적을 알리는 현수막을 지역구 곳곳에 붙여놓고 홍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 과연 이들이 자랑하는 치적이 얼마나 많은 지역 발전을 가져왔을까?

2016년 20대 총선 당시 광주광역시의 1월 기준 인구는 1,472,802명 유권자는 1,158,221명 국회의원 의석수는 8석이었다. 반면 대전광역시의 2016년 1월 기준 인구는 1,518,024명 1,213,851명 국회의원 의석수는 7석에 불과했다. 대전이 광주보다 인구가 45,222명이나 많고, 유권자 수도 55,630명이나 많은 상황에서도 국회의원 의석수는 1석이 부족한 현실에 대해 누가 책임을 져야 하는가? 표의 등가성에도 어긋나는 이러한 현상의 1차적 책임은 우선적으로 지역 정치인들이 책임져야 마땅하다.

2008년 18대 총선과 2012년 19대 총선에서는 대전이 광주보다 유권자 수가 각각 66,906명과 63,836명이 많은 상황에서도 국회의원 의석수는 두 석이나 부족한 6석에 불과했다. 특히, 19대 국회 전반기에는 대전을 지역구로 둔 집권여당의 국회의장과 제1야당의 국회 부의장을 두고서도 표의 등가성이 침해당하는 현실을 제대로 바로잡지 못하고 지나갔다.

대전이 표의 등가성을 침해 당한 역사는 이보다 더 오래됐다. 2004년 17대 총선에서는 대전이 울산보다 유권자 수가 274,947명이 많은 상황에서도 국회의원 의석수는 울산과 똑같은 6석에 불과했다. 또한 광주는 대전보다 유권자 수가 43,472명 부족한 상황에서도 국회의원 의석수가 1석 늘어난 7석이었는데, 대전은 더 많은 유권자 수를 가지고도 6석의 의석만 유지했다. 이러한 이유를 무엇으로 설명할 수 있을까?

대전광역시의 유권자 수가 광주광역시의 유권자 수를 초월한 것은 지난 1996년 15대 총선이다. 대전은 광주보다 2,159명의 유권자 수가 많았고, 국회의원 의석수 역시 1석 많은 7석이었다. 하지만 2000년 16대 총선에서 국회의원 의석수가 1석이 줄어든 대전은 19대 총선까지 6석을 유지했고, 20대 총선에 와서야 유성구의 분구로 간신히 7석에 이르게 된다.

하지만 광주는 17대 총선에서 대전보다 유권자 수가 43,472명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국회의원 의석수가 1석 늘어난 7석이 되더니 18대 총선에서는 대전보다 유권자 수가 66,906명이 부족한 상황에서도 국회의원 의석수가 8석이 되었고, 현재까지 8석의 의석을 유지하고 있다.

2019년 3월말 기준으로 대전광역시의 인구는 1,486,647명이고 광주광역시의 인구는 1,458,930명이다. 이제 본격적인 총선이 시작되면 ‘6선의 힘’, ‘5선의 경륜’ 등을 내건 다선 의원들의 자기 자랑이 넘쳐날 것이다. 지난 19년, 15년, 7년 동안 지역 국회의원으로 활동한 분들은 자기 자랑이 아니라 인구에 따른 국회의원 의석수조차 제대로 지켜내지 못한 것에 대해 시민들에게 먼저 죄송하다고 고개를 숙여야 하지 않을까?

오늘부터라도 최다선 의원이 나서든지 아니면 초선 의원이 나서든지 아니면 시장이 나서든지 여야를 가리지 말고 대전의 자존심과 표의 등가성을 지키기 위해 초당적인 협력을 통해 대전의 자존심을 되찾아야 할 것이다. 그것이 단순한 국회 정론관에서의 일회성 기자회견에 그치지 말고, 대전시민들의 의지를 하나로 엮어내는 리더십을 발휘해야 할 때가 아닐까?

 

키워드

#의석수
저작권자 © 뉴스티앤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