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소득 1994년 이후 1,000만 원 안팎

농협 CI / 농협 제공

'농가소득 증대'를 최고 목포로 삼는 농협의 존재 이유에 의문이 제기됐다. 농업소득이 10년째 지지부진한 탓이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박완주(재선, 충남 천안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6일 "농협의 가장 큰 존재이유는 농가소득 증대다. 이를 위해서는 농축산물 제값을 보장해야 한다"며 "농협이 사업구조 개편 이후 실질적인 '판매농협'을 구현해 왔는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국내 농가소득 중 '농업소득'은 1994년 이후 10년 넘게 1,000만 원에서 100만 원 안팎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심지어 지난해 농업소득은 1,005만 원을 기록해 2015년 1,126만 원보다 떨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농협중앙회는 저조한 농가소득의 원인으로 농산물이 제값을 받지 못하는 상황을 꼽고 있다. 이에 지난 2012년 농협경제·금융지주회사 출범 사업구조 개편 이후 '판매농협 구현'을 목표로 경제사업 활성화를 추진했다.

'경제 활성화 추진 계획'은 2020년까지 중앙회가 조합 출하물량 50% 이상을 책임 판매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원예 39%, 양곡 59%, 축산 64% 책임 판매를 계획하고 있다.

하지만 박 의원이 농협중앙회로부터 제출받은 '품목별 책임판매 비율' 자료에 따르면, 2017년 기준 책임판매비율은 원예 19.2%, 양곡 37.2%, 축산 29.5% 등 저조한 수준에 그치고 있다.

박 의원은 "2020년까지 3년밖에 남지 않았음에도 목표치의 절반밖에 오지 못했다. 조합 출하물량 판매확대는 회장 공약사항이기도 하다"면서 "2020년까지 목표치를 달성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달라"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뉴스티앤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