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비전2030정책네트워크, ‘지방대학의 붕괴,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정책세미나 개최

대전비전2030정책네트워크 제공
대전비전2030정책네트워크 제공

지방대학이 붕괴하는 상황에서 지방자치단체가 적극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17일 대전비전2030정책네트워크와 내일포럼이 공동 주최한 ‘지방대학의 붕괴,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라는 정책세미나에서 지방대 위기의 문제 제기와 다양한 해법이 제시됐다.

이번 세미나에서 오응준 전 대전대 총장은 “30년 전 저의 박사학위 논문제목이 ‘대학교육기관의 도태 개연성과 위기관리방안에 관한 연구’였는데 “오늘 현실로 눈앞에 다가온 데 대해 착잡한 심정을 금할 수가 없다”고 운을 뗀 뒤 “자자체가 앞장 선 일본 벳부의 아시아태평양대학의 성공사례를 벤치마킹하고 수도권과 비수도권, 비수도권 내 국공립대와 사립대의 교육비 격차가 큰 상황에서 이공계는 국공립대가, 사회계열은 사립대가 역할분담하는 방안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발제자로 나선 주상현 전북대 입학처장은 ‘지방대학위기의 실태와 과제’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통계에 따르면 5년 내에 전국에서, 그것도 비수도권에서 입학정원 2000명 규모의 대학 90여개가 폐교 수순을 밟게 된다는 위기감을 피부로 느껴야 하는데 교육부는 미지근한 구조조정 정책으로 부실대학의 정리시기를 놓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대전의 경우 5년간 대전 소재 대학졸업생 12만 7822명의 33.1%인 4만 2319명이 현재 대전에 거주하고 있어 인재유출은 물론 인구유출이 심각한 상태라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 뒤 “지방대 위기의 원인은 수도권집중도 심화, 대학구조조정실패와 열악한 교등교육재정에 기인하는 바 지방교육재정교부금 지원의 범위에 대학을 포함하는 법률개정이 필요하고 지방대 위기 극복을 위해 대학자체의 혁신노력도 중요하지만 지방대와 지자체, 그리고 교육청이 협력거버넌스를 구축해 지역에 특화된 산업체인력양성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창기 대전대 객원교수가 좌장을 맡아 진행한 토론에서 박백범 대전대 석좌교수(전 교육부 차관)는 “지역의 대학들이 혁신을 하기 위해서는 지자체가 대학을 지원하고 지역의 산업체와 지식융합적인 문화산업이 대학과 밀접하게 협력을 해야 한다”며 “전문대와 특성화고교도 중견기업과 중소기업, 서비스산업을 위주로 한 자영업 등과 밀착해서 산학협력을 해야 하고 교육청과 지자체는 이를 지원하면서 이끌어줘야 지역의 산업생태계가 살아날 것”이라고 제언했다.

김학만 우송대교수(교육부 규제완화위원장)는 "지역과 대학의 상생발전을 위한 대학도시 운영의 필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고 지역대학의 발전을 위해 해당 지자체가 산학연관 협력관점에서 협조하고 지원함으로써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고, 지방소멸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고 주장했다.

장종태 서구청장은 "도시와 대학은 떼레야 뗄 수 없는 공동 운명체라는 생각 위에서 서구청은 지난 10월 하순 지역 내 4개 대학(건양대, 대전과학기술대, 목원대, 배재대) 총장님들과 간담회를 개최했으나, 구청장으로서는 지원할 수 있는 부분에 한계를 느꼈다”고 언급했다.

그는 “지방대학은 지자체와 힘을 합쳐 지역발전을 이끄는 창업지원 기관 뿐만 아니라 직업교육과 평생교육의 메카로 자리매김해야 하고 이러한 맥락에서 공로연수제 보다는 20년 이상 근무한 공무원 또는 공공기관의 임직원에 대해 유급학습휴가제를 활용해 지방대학의 연수과정에 참가시키고 각 대학의 유휴공간을 활용해 평생학습대학을 운영해 5060세대들이 가까운 동네 대학에서 대학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시가 지원하면 대학과 지역 모두 살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지자체와 대학은 지금보다 몇 배의 네트워크로 뭉쳐야 산다는 목표 아래 중국 텐진의 TEDA(Tenjin Economic-Technological Development Area)처럼 대전시민대학 산하 연합교양대학에 대학교육혁신센터를 설치해 각 대학으로부터 졸업예정자 1000명을 받아 집중적인 취업교육을 시키고 졸업 후 지역의 공공기관, 연구소, 기업들에 1년간 인턴으로 일할 기회를 부여하고 인건비는 시에서 지원(1000명 기준, 연 200억 원규모)하고 대전에 주소지를 둔 대학생에 혜택을 줌으로써 인구증가 효과와 원도심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비전을 제시했다.

저작권자 © 뉴스티앤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